“나는 빅데이터 전문가 송길영 부사장의 팬입니다.
그분처럼 데이터를 읽고 분석하는 능력을 갖추고 싶어서
빅데이터 자격증을 알아보다가,
'국가공인 자격인 ‘빅데이터 분석기사’를 알게 되었습니다.”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분들에게
이 글이 ‘데이터 커리어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1. 빅데이터 분석기사란?
2022년부터 시행된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HRD)에서 시행하는 기사급 자격증입니다.
정식 명칭: 데이터분석기사 (빅데이터 분석기사라고도 불림)
목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분석·모델링·시각화를 통해 의사결정을 돕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
2. 응시 자격
다음 중 하나 이상 해당되면 누구나 응시 가능!
① 학력 기준 |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 |
② 경력 기준 | 관련 분야 실무 2년 이상 종사자 |
③ 자격증 기준 | 동일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이상 소지자 |
④ 비전공자도 응시 가능 | 학력, 경력, 자격증이 없어도 ‘기사 응시자격 확인서류’ 제출 시 응시 가능 (예: 학점은행제 이수, 실무경력 증명 등) |
☆ TIP:
비전공자라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나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등으로 학점 이수 후
응시 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3. 시험 과목 및 형태
1) 필기시험 (객관식 80문항)
데이터 이해 | 통계 기초, 데이터 구조, 품질 등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수집/전처리/저장 등 |
데이터 분석 | 모델링, 머신러닝, 회귀분석 등 |
데이터 시각화 | 시각적 분석 도구와 표현법 |
데이터 활용 | 정책수립, 비즈니스 의사결정 사례 등 |
2) 실기시험 (서술형 + 파일 작업형)
구성 | 세부 내용 |
서술형 문제 | 데이터 분석 절차, 모델링 계획 등 |
작업형 문제 | 주어진 데이터 파일 분석 및 리포트 작성 (Python, R 사용 가능) |
시험 시간: 약 2시간 30분
합격 기준: 60점 이상
실기는 필기보다 난이도가 높고 분석 도구에 익숙해야 합니다.
따라서 사전 훈련과 실습 경험이 중요합니다.
4. 비전공자도 도전할 수 있을까?
정답은 YES입니다.
하지만 반드시 준비는 철저히 해야 합니다.
다음은 비전공자가 실제로 빅데이터 분석기사에 도전하는 방법입니다.
5. 비전공자를 위한 준비 방법
1) 데이터 기초부터 탄탄히
- 기초 통계, 수학, SQL
- 유튜브 무료 강의나 K-MOOC에서 입문 가능
- 추천 도서:
- 《Do it! 데이터 분석 입문》
-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데이터 과학》
2) 필기 준비 (3~4개월 기준)
- 시중 교재 + 기출문제 반복
- NCS 기반 시험이라 문제 유형 익히는 것이 핵심
- 추천 교재:
- 『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에듀윌/시대고시/이패스코리아 등
3) 실기 준비 (4~6개월 기준)
- Python, Pandas, Numpy 등 실습 경험 필수
- 추천 온라인 강의:
- 패스트캠퍼스, 인프런, 프로그래머스의 데이터분석 실습 강의
- K-Digital Training 과정 참여 시 무료 수강 가능
- 모의 실습 진행 (CSV 파일 분석 → 인사이트 도출 리포트 작성)
6. 활용 분야
데이터 분석가 | 마케팅, 제품기획, 경영전략 |
공공데이터 전문가 | 공공기관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금융 데이터 컨설턴트 | 리스크 분석, 예측 모델링 |
인공지능 프로젝트 지원 | 머신러닝 모델링 기반 구축 |
분석기사 자격을 ‘우대사항’으로 명시하는 채용공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7. 나의 동기와 앞으로의 계획
나에게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단순한 자격증이 아닙니다.
“데이터를 해석하는 눈을 갖고 싶다”는 열망의 출발선이에요.
송길영 부사장의 강의를 들으며
데이터를 읽어내는 깊은 통찰에 감탄했고,
나도 일상의 패턴, 사람의 움직임을 숫자로 해석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 관련 키워드
빅데이터 분석기사 응시자격, 비전공자 데이터자격증, 데이터 분석 자격증 난이도, 빅데이터 분석기사 준비방법, 국가공인 데이터 분석 자격증
8. 마무리 정리
자격증 종류 | 국가공인 기사급 |
응시 자격 | 전공/경력/학점 조건 충족 필요 |
필기 | NCS 기반 객관식 80문항 |
실기 | 데이터 분석 실습 + 서술형 |
장점 | 공공기관·대기업 실질 우대, 전문성 인증 가능 |
단점 | 난이도 높음, 실기 준비 부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