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이라 두려운 건 당연하다.
하지만 시작한 사람만이 ‘가능성’에 닿는다.”
1. 전기? 나는 하나도 모르는데요
저도 처음엔 전기=위험하고 어려운 분야라고만 생각했습니다.
공대 졸업도 아니고, 관련 일도 해본 적 없고,
심지어 ‘플러그 하나 제대로 못 고치는데 내가 할 수 있을까?’ 싶었죠.
그런데 놀랍게도,
전기기능사는 자격 제한이 없습니다. 누구나 응시할 수 있어요.
그리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준비하면, 초보자도 충분히 도전 가능합니다.
2. 전기기능사, 왜 요즘 인기일까?
- 실무 중심의 기술자격
- 학력, 나이, 성별 무관 응시 가능
- 소자본 창업 or 현장 취업에 유리
- 전기기사 등 상위자격으로 확장 가능
-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요건으로 활용
특히 40~50대 경력단절자, 퇴직자, 여성 도전자에게도
새로운 커리어를 여는 열쇠로 주목받고 있어요.
3. 전기기능사,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STEP 1. 시험 개요 이해하기
자격증명 | 전기기능사 |
응시 자격 | 없음 (누구나 응시 가능) |
시험 구성 | 필기(3과목) + 실기 |
주관 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Q-net) |
시험 횟수 | 연 4~5회 시행 |
STEP 2. 공부 준비하기
☆ 필기시험 과목 (객관식 60문항)
- 전기이론 – 기초적인 전기의 개념
- 전기기기 – 변압기, 발전기, 모터 등
- 전기설비 – 배선, 안전기준 등
필기는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며,
합격 시 2년간 실기 응시 자격이 유지됩니다.
☆ 실기시험 (작업형)
- 전선 연결, 배선도 작성, 배관 작업 등
- 실제로 기구를 연결하고 조립하는 실습 위주
초보자는 반드시 실기학원 수강을 추천드립니다.
(전기기구·도구 사용법을 혼자 익히기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STEP 3. 추천 학습 경로
기초 개념 익히기 | 유튜브 전기기능사 입문 영상 or 시중 교재 |
필기 대비 | 전기기능사 필기책 + 기출문제 풀이 |
실기 대비 | 실기 전문학원 수강 or 작업도구 세트 구매 후 반복 연습 |
시험 접수 | Q-net(큐넷) 사이트 통해 필기→실기 순으로 접수 |
4. 전기기능사 취득 후,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전기기능사 자격증 하나만으로도
현장에 바로 투입 가능한 기술자로 취업이 가능합니다.
분야 | 직무 예시 |
건설현장 | 전기 배선 시공, 설비 작업 |
공장 | 기계·전기 설비 유지보수 |
건물 관리 | 아파트, 빌딩, 병원 등 전기 점검/보수 |
전기 안전점검 업체 | 배전판, 차단기 점검 등 |
중소기업 전기팀 | 설비관리, 설비운영 보조 등 |
초보자라도 기술자 보조부터 시작 가능
→ 경력 1~2년만 쌓아도 단가 상승 or 프리랜서 가능
5. 경력 1~3년 후, 이런 진로로도 가능해요
✔ 전기산업기사
- 실무 2년 or 기능사 후 경력 1년
- 중급 수준의 자격으로 설계, 감리 가능
- 기술직 공무원/공기업 입사 조건으로 활용 가능
✔ 전기기사
- 실무 4년 or 산업기사 + 1년
- 고급 전기설계, 공공기관 안전관리자 자격
- 대기업 전기팀/전기 감리/설계회사 취업 가능
✔ 프리랜서 전기기술자
- 배선공사, CCTV 설치, 태양광 등 개인 기술자 등록 후 현장 일감 수주
6. 전기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팁
- 초반엔 용어부터 낯설어도 너무 당황하지 말기
- 실기는 무조건 손으로 반복해서 익히기
- 작업형 문제는 시간 내에 완성하는 연습이 핵심
- 여성이어도 충분히 가능! 기구 사용법만 익히면 유리
- 공부→취득→경력→전문직 확장까지 커리어 확장이 명확한 분야
♣ 관련 키워드
전기기능사 준비방법, 전기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기, 전기 자격증 초보, 비전공자 전기기능사, 전기기능사 공부순서, 전기기능사 실기 팁, 전기기능사 취업 가능한 곳, 40대 기술자 자격증, 경력단절 여성 기술자 도전기, 전기기능사 진로
7. 마무리하며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배우겠다는 사람은 다릅니다.
전기기능사는 진입장벽이 낮지만,
활용도는 굉장히 높은 자격증입니다.
전문성을 갖춘 기술직으로 전환하고 싶은 분이라면,
기초부터 천천히 시작해보세요.
당신이 오늘 전기기능사 검색을 한 그 순간이,
당신 인생의 새로운 커리어 출발점일 수 있습니다.